윈도우11 정품인증 키 구매 방법 및 OEM, FPP, ESD, DSP 차이 > 공지사항

본문 바로가기

윈도우11 정품인증 키 구매 방법 및 OEM, FPP, ESD, DSP 차이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Ferdianand
댓글 0건 조회 77회 작성일 25-07-31 22:38

본문

안드로이드 OEM 버전 5.1(롤리팝) 이상의 안드로이드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보안을 위해서 아무런 사전준비 없이 공장 초기화를 실시하면 구글락(Google Lock)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​이 때는 초기화 이전에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에 로그인 되어 있던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 OEM 하면 잠김을 풀 수 있는데, 중고로 구매한 기기라든가, 비밀번호는 커녕 로그인 되어 있던 계정조차 생각이 나지 않는 경우에 상당한 난감하다.​그.래.서! 어떤 이유로든 초기화 전에는 혹시나 있을지 모를 불상사를 대비해서 약간의 준비가 필요하다.​우선은 숨겨진 OEM 메뉴인 "개발자 옵션"을 켜 줘야 한다.​스마트폰의 설정으로 들어가서 메뉴를 찾아보면 일반적으로는 아무리 찾아도 "개발자 옵션"이라고 하는 메뉴를 찾을 수 없다.​먼저 스크롤을 끝까지 쭉- 내려서 "휴대전화 정보"를 선택한다.​그리고 다시 "소프트웨어 정보"를 선택한다.여기서 빌드번호를 7번 OEM 터치하면개발자 설정을 허용하시겠습니까?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당연한 말이지만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.7회 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, 터치가 씹혔겠거니 하고 그냥 몇 번 더 눌러준다.이제 다시 설정의 첫화면으로 돌아가 보면 가장 아래에, "휴대전화 정보" OEM 밑에,기존에는 없었던 "개발자 옵션"이라는 메뉴가 활성화 되어있다.이제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 보면"OEM 잠금해제"라는 메뉴가 보이는데이걸 켜 주면 되는건데....​위의 스크린샷에서 보다시피 글씨가 연하게 나오면서 메뉴 자체가 비활성화 되어서 켜고 끄고를 선택 할 수 없게 되어있고, OEM "보안 위험 자동 차단에서 차단함" 이라는 설명이 붙어있다.​즉, 보안위험자동차단을 해제해 줘야 OEM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할 수 있다는 말이다.​보안 위험 자동 차단은설정에서 "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"로 들어가면이렇게 켜져 있는데, 이걸 꺼 주면 된다.​간혹, OEM 내껀 오래된거라 이런 기능 지원 안 해. 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만,안드로이드 5.0이 2014년에 공개되어 10년도 더 됐기 때문에 10년 된 기기라도 초기화 전에는 OEM 잠금 해제를 해 줘야 예상치 못 한 OEM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.​좌: 갤럭시 S7, 안드로이드버전 8.0.0, 삼성익스피리언스버전 9.0 // 우: 갤럭시 S9, 안드로이드버전 10, One UI버전 2.5안드로이드 버전 5.1 이상이면 모두 적용되는 기능이니 오래된 모델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Copyright © 2020 ING Global. All Rights Reserved.